1. 리프트의 실적 충격
차량 공유 서비스 사업의 대표 주자인 우버의 괜찮은 실적 발표로 인해 경쟁 상대인 리프트(LYFT)의 실적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은 했는데, 어제 본장이 끝난 후 발표된 리프트의 실적은 매우 실망스러운 수준이었습니다. 리프트의 4분기 EPS는 -0.74달러로 예상치인 0.14달러에 미치지 못했으며, 매출은 11.8억 달러로 예상치인 11.5억 달러보다 높았습니다. 리프트는 지난 2021년 2분기 이후 6분기 만에 수익이 적자로 돌아섰고, EPS가 예상치보다 낮게 나온 것도 지난 2019년 1분기 이후 15분기 만입니다. 리프트 CFO인 폴은 "우리는 더 큰 성장과 수익성에 도달하기 위해 집중하고 있다"라고 밝혔지만, 우버에 비하면 실망스러운 실적입니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4분기 때 리프트의 활성 라이더는 2,290만 명이었는데, 이번 4분기에는 2,030만 명 수준으로 팬데믹 이전보다 11%나 적습니다. 리프트는 이번 4분기에 5.88억 달러의 순손실을 보고했는데, 이는 작년 4분기보다 2배가 넘는 손실 수준입니다. 작년 11월부터 어려운 회사 사정으로 구조 조정도 실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어려운 환경에 놓인 리프트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49%나 증가한 우버에 밀리면서 오늘 주가가 하루 만에 36.44%나 하락했습니다.
2. 미시간대 경제지표, 우려했던 인플레이션 상승
금요일은 미시간대 경제지표만 발표됐습니다. 먼저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달 64.9보다 소폭 상승한 66.4가 나왔습니다. 예측치도 65로 예측치보다 높았습니다. 2022년 1월 이후 최고 수치이긴 하지만, 팬데믹 이전의 평균 수치인 100보다는 아직 낮습니다. 문제는 기대 인플레이션이었습니다. 5년 뒤 기대 인플레이션은 2.9%로 지난달과 같은 수치가 나왔지만, 1년 뒤 기대 인플레이션은 4.2%로 지난달 3.9%보다 0.3%나 상승했습니다. 최근 들어 다시 중고차 가격이 상승하고, 에너지 가격 역시 계속 오르고 있어 다음주 CPI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었는데, 기대 인플레이션마저 높게 나오면서 시장 분위기를 가라앉게 만들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인 CPI나 개인지출물가지수인 PCE도 중요하지만,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 역시 FED가 주목하는 지표입니다. 100% 맞는 건 아니지만,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올라간 뒤에 인플레이션 관련 지표들 역시 오르는 경우가 종종 있어 왔습니다. 실제로 미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느끼는 물가 체감 정도가 감소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것 역시 인플레이션 상승 우려를 걱정하게 만듭니다.
3. 예상보다는 잘 버틴 증시
하지만 증시의 움직임은 그렇게 나쁘지 않았습니다. 오늘도 FED 위원들의 발언이 이어졌습니다.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 (상시 투표권 있음) |
은행은 암호화폐의 위험으로부터 투자자들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 |
암호화폐는 본질적인 가치가 없는 자산으로 위험하다. | |
암호화폐를 구입한 사람들은 어느 순간 가치가 0이 되더라도 놀라지 말아야 한다. | |
암호화폐의 손실을 국가나 국민들의 세금으로 돌려서는 안 된다. | |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총재) (올해 투표권 있음) |
인플레이션은 FED의 의도대로 움직이고 있다. |
지금과 같은 흐름을 유지한다면, 연착륙도 가능하다. | |
2022년과 같이 금리를 과하게 인상할 필요는 없다. | |
앞으로 몇 번 더 금리를 인상할 필요는 있다. |
월러 이사는 증시에 대해 직접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았지만, 암호화폐에 대해 부정적으로 이야기를 한 탓에 간접적으로 기술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올해 투표권이 있는 하커는 다른 FED 위원들에 비하면 조금은 비둘기적인 발언을 했습니다. 작년 하반기에 예상보다 미시간 소비자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게 나왔을 때 증시는 급락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오늘은 예상보다 잘 버텼습니다. 최근 가장 좋은 움직임을 보였던 나스닥은 하락세를 면치 못했지만, 다우존스와 S&P500은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번주 마지막 거래일인 금요일에 다우존스는 0.50% 상승, S&P500은 0.22% 상승했으며, 나스닥만 0.61% 하락하며 마무리했습니다. 하지만 나스닥은 3일 연속 하락세를 면치 못 했습니다.
4. 2년물 금리와 달러 인덱스는 보합, 10년물 금리와 유가, 천연가스는 상승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오늘 4.48%를 그대로 유지하며 변동이 없었으며, 10년물 금리는 3.66%에서 3.74%까지 오르며 8bp 상승했습니다. 달러 인덱스는 지난주 금요일 고용지표 발표 후 계속 103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큰 변동이 없습니다. 일부 기관에서는 10년물 금리가 4% 이상 오를 수 있다고 말하는 등 최근 들어 10년물 금리가 앞으로 더 오를 수 있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인플레이션이 확실히 꺾이고 있다고 여겼던 시장의 분위기가 조금씩 변화될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유가 WTI는 오늘 77.58에서 79.77 달러까지 오르며, 다시 80달러에 육박했습니다. 오늘 러시아에서 새로운 뉴스가 나왔는데, 다음달인 3월부터 러시아는 매일 50만 배럴의 원유를 감산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루 50만 배럴은 러시아 생산량의 5%이며, 전세계 생산량의 0.5%에 해당하는 양입니다. 최근 중국의 본격적인 리오프닝으로 인해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러시아의 이번 감산 발표로 공급 부족까지 겹치게 됨에 따라 유가는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유럽 천연가스는 52.9에서 54.35유로로 오늘 올랐지만, 여전히 매우 낮은 가격대입니다.
'미국 주식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 무효 트래픽 (113) | 2023.02.12 |
---|---|
23년 2월 12일(일) / 미국 주식 뉴스 / 일주일 동안 3대 지수 모두 하락 (41) | 2023.02.12 |
23년 2월 10일(금) / 미국 주식 뉴스 / 물가 상승 조짐으로 인해 하락한 증시 (92) | 2023.02.10 |
23년 2월 9일(목) / 미국 주식 뉴스 / 인플레이션 상승 우려로 인해 증시는 하락 (115) | 2023.02.09 |
23년 2월 8일(수) / 미국 주식 뉴스 / 새로운 게 없던 파월의 연설, 증시는 상승 (68) | 2023.02.08 |
댓글